한국변리사의 미국변호사 도전기

[미국변호사시험7]미국변호사 시험을 준비하는 10년차 변리사

한변리사 2022. 12. 7. 04:01
반응형

변리사 10년차. 어쩌다 보니 미국에 나와 살게 되었다. 회사 업무는 업무량을 줄여 재택근무를 하기로 했다.

비변호사로서, 전문 자격인(변리사, 세무사) 경력 5년을 이용하여 미국변호사 시험 준비를 시작했고, 쉬엄 쉬엄 도전하는 기록을 남기기로 결정했다. 이런 자격은 일리노이 주에서만 허용된다

 

 

어쩌다 보니 미국에 살게되었다.

물론 로스쿨을 가는 것이 훨씬~ 좋겠지만, 가성비, 영어 실력 및 공부량을 고려해서 일단 미국 변호사 시험을 보기로 했다. 자의로 미국에 온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결정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운좋게 미국 변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그 후 충분히 미국에 체류할 시간이 남아있다면 LLM 로스쿨 과정을 갈 생각이다.

근데 하필 하버드 옆에 살아서, 눈이 높아졌네. 받아만 주시다면 뼈를 갈아서라도...😁😂🤣

 

미국변호사 시험 볼지/말지, 고민했다. 과연 매리트가 있을까?

점점 나라간의 물리적 국경은 사라지고, 그 간극을 전문변호사들이 중재하는 일이 증가하는 현시대에서, 미국 변호사 자격증은 상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특허 업계에는 이미 상당수의 미국 변호사들이 일을 하고 있으며, 미국으로의 특허 출원 및 분쟁에 관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변호사의 수요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사실상, 주변 미국 변호사들의 대우는 변리사의 대우와 비슷하거나, 언어능력, 소송경험 등에 따라 더 좋기도 했다. 또한, 기업으로의 이직도 쉬운 편이었다.

국내 회사들의 미국 변호사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비법대생이 미국 로스쿨을 가지 않고도 미국변호사 시험 자격을 얻을 수 있는 길은 좁다.

미국 로스쿨을 가지않고 미국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는 문은 좁아지고 있다.

현재는 변리사 또는 세무사 자격을 통해 Bar Test를 볼 수 있는 State는 일리노이 주(Illinois State)가 유일하다.

더군다나, 사법고시의 폐지 이후 2017년 이후에 취득한 방송통신대학교의 법학 학위를 인정하지 않는 곳이 많아져서 비법학사들의 LLM에 대한 문턱이 높아졌다.

실제로, 로스쿨 LLM 지침에서는 아래와 같이 2017 년까지의 학사 학위 + 사법 연수원 (JRTI)의 졸업장 또는 학사 학위+법학 박사 (JD)를 요구하고 있다.

아직 방통대 법대 학위를 인정해주는 학교도 있으니,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의 요구사항을 잘 살펴야한다.

마무리

이 홈페에지에서는 미국 변호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것이며, 내 경험에 비추어 미국 변호사 자격 시험의 응시 절차, 공부 방법 등 을 개시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경험에 비추어 보아, 미국 변호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한 "서류 준비 및 접수"는 까다롭다. 사실 귀찮다..매우..😕🤨🤔

 

함께 읽어보면 좋을 글
 일리노이주 변호사 시험 접수 방법 및 준비서류

 한국 변호사/변리사/회계사/노무사/세무사 미국 일리노이주 변호사 시험 접수하기

▶일리노이 변호사 시험 응시 비용

일리노이 변호사 시험 일정

▶ 미국변호사 시험 객관식 문제집 추천_MBE 문제집

반응형